본문 바로가기

시사상식이슈

2024년 한무보가족, 다문화가족, 저출산, 돌봄서비스 등 각종 지원

반응형

출처. 여성가족부

 

오늘은 2024년 여성가족부 예산으로 확정되어 1월 1일부터 시행될 각종 가족 지원제도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2024년도 여성가족부 예산이 전년도인 2023년도 대비 9.9% 증가한 1조 7,234억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교제폭력 피해자 맞춤형 지원 강화를 위해 9.8억원 가정폭력피해자 치료회복 지원 등 15억원, 장애 아동. 청소년 특화교육 3억원, 성희롱.성폭력 고충상담원 상시교육 등 13.3억원, 우수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 지원 8.5억원,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생활관 리모델링 등 16억원, 청소년의 달 행사 3억원 등으로 최초 정부안보다 82억원이 증대되었습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지원금액입니다. 개인적으로 2024년에는 저출산과 청소년들을 위해서 직접적인 지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2024년 여성가족부 지원 제도를 간략히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여성가족부 2024년 지원제도

[목    차]

1. 취약가족 지원

2. 저출산 대응

3. 위기 청소년 지원

4. 폭력 피해 지원

 

 

◎ 한부모, 다문화 가족 및 위기. 취약가족 지원

① 한부모가족의 안정적 자녀양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을 중위소득 60%에서 63%이하로 확대하고, 만18세 이상 자녀도 고등학교 재학 중인 경우 아동양육비를 지원합니다. 아동양육비 지원 단가는 월 20만원에서 월 21만원으로 상향합니다.

② 다문화가족 자녀의 성장단계에 맞춰어 취학 전부터 기초학습을 지원하고, 정서.진로상담을 확대합니다. 저소득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교육활동비를 신규로 지원하는 한편, 다문화가족 자녀가 가진 강점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 학습지원을 신규로 제공합니다. 

③ 지역단위에서 가족의 유형별 서비스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부모, 조손, 다문화 1인가구 등 대상별로 지원해 오던 사례관리 사업을 통합, '취약. 위기가족 통합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합니다.

 

 

◎ 저출산 대응 및 일자리 지원

아이돌봄 서비스는 중위소득 150% 이하의 가구에 대해 소득에 따라 차등 지원하고, 두 자녀 이상 가구에게 본인부담금의 10%를 정부가 추가 지원합니다.

② 디지털전환 가속화 등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신기술 미래유망직종 직업교육훈련과정을 확대합니다.

 

◎ 위기청소년 맞춤형 지원 강화 및 학교안팎 청소년 활동지원

① 자살.자해 고위기 청소년과 부모 등 가족에 대한 정서지원까지는 포괄하는 '고위기 청소년 집중심리클리닉' 전담인력을 신규로 배치하여 위기징후를 보이는 청소년 지원을 강화합니다.

② 청소년복지시설 퇴소 청소년의 자립지원 강화를 위해 자립지원수당(월 40만원) 지원기간(3년 > 5년으로 증가) 및 대상자를 확대하는 한편, 취약계층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정부 지원을 확대합니다.

③ 정서, 행동에 문제를 가진 청소년을 전문직으로 치유하는 국립청소년디딤센터를 경남에 추가로 건립하고 노후 시설 보수 등을 통해 디딤센터 환경을 개선합니다.

 

◎ 폭력 피해자 맞춤형 지원 강화

① 스토킹 피해자의 안전한 일상회복 지원을 위해 긴급주거지원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CCTV 등 시설 안전도 지원합니다.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와 해바라기센터를 각 1개소 추가로 설치하고 해바라기센터에서의 영상증인신문 지원을 확대 합니다.

③ 가정폭력 피해자 자립지원 강화를 위해 보호시설 퇴소 시 피해당사자에게 지원하던 자립지원금을 피해자 동반아동까지 확대 지원합니다.

④ 장애 아동.청소년의 폭력예방 인식 제고 및 자기 보호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해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 장애 아동.청소년 특화교육(200회, 각 10차시)'을 실시합니다.

⑤ 신종, 복합, 고난도 폭력 피해 발생 대응을 위해 폭력피해자 통합지원을 확대합니다.

⑥ 교제폭력 피해자 대상 맞춤형 지원강화를 위해 통합상담소의 상담인력을 확대합니다.

  ▸ 맞추형 지원강화는 상담, 법률, 의료비 지원 연계, 스토킹 주거지원 연계 등 심리. 안전  확보조치입니다.

⑦ 학교 등 공공기관에 지정된 성희롱, 성폭력 고충상담원 교육 수요 대응 및 전문성 강화 등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상시학습 시스템을 구착합니다.

 

2024년 여성가족부의 각종 지원제도 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돌봄센터나 해바리기센터 등은 저도 자세히 알아본 다음에 한 번 다루면 좋을 것 같네요.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