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혼

결혼비용이 궁금하신가요?. 실질적인 결혼비용 2023 안내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은 결혼비용이 궁금한 예비부부 혹은 결혼을 고민하고 있는 분들일것이다. 필자는 직접 경험한 실질적인 결혼비용을 안내하고자 이글을 소개한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평범한 예식장에서 평범한 결혼준비 후 결혼식을 올릴 경우 대략적으로 2500만원에서 3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 참고로 이 비용은 가전가구, 집, 예물예단 비용을 제외한 결혼준비부터 결혼식, 신혼여행 경비까지이다. 혹자는 이렇게나 많이 든다고 하고 혹자는 이거밖에 안든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왜 2500만원에서 3000만 정도 들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설명해드리겠다. 항목 예비신랑 예비신부 합계(액) 비고 상견례 320,000 50,000 370,000 남자 식비. 여자 선물 어르신인사 150,000 80.. 더보기
[결혼준비] 결혼할려고 하니 뭐가 이렇게 준비할게 많아! 3부. 3부 시작합니다. 5) 양가 예단 논의 예단은 요즘 하는게 반, 안하는게 반 정도인 것 같고 하는것도 약식으로 하는 추세도 꽤 많아지고 있다. 너무 슬픈현실이지만 집값이 너무 오르다보니 양가오르신들이 주고받을 돈을 예비부부 집값에 보태주는 경우도 있다. 다만, 보수적인 집안의 경우는 필히 하실 가능성이 높으니 특별한 사정이나 경제적 무리가 아니라면 어른들 말씀에 따라 하시길 바란다. 보통 예단을 하면, 양가에서 서로 집기, 이불 등을 주고 받고 예비신랑측에서 신부에게 돈을 보내고, 예비신부측은 그 돈의 반을 다시 예비신랑측으로 보내면서 끝을 맺는다. 6) 스튜디오 예약 및 촬영 "남자들이어. 스튜디오는 그냥...예비신부 하자는대로 하자. 논쟁하는게 더 피곤하다 ㅠㅠ." 예비신부들마다 다르지만 여성들의 결.. 더보기
[결혼준비] 결혼할려고 하니 뭐가 이렇게 준비할게 많아! 2부. 결혼준비 2부 시작합니다. 2) 상견례 상견례는 통상적으로 예비신부가 요청하는 장소에서 하고 비용은 예비신랑 혹은 반반 부담하되, 예비신랑이 상견례 전액을 지불했을 경우 예비신부는 간단한 선물 정도를 준비하면 좋다. 정해진 것은 없으나 사회적 관례는 저정도인데, 간혹 상견례 장소와 참여인원범위 때문에 싸우는 예비부부들도 많으니 잘 논의해서 잡으시길 바란다. 상견례장소는 시끄럽지는 않되, 음식이 적당히 정갈하게 나오는 곳으로 하면 된다. 필자는 한식당으로 하여 코스로 했고 중간가격인 1인당 4만원 정도로 한 것 같고 우리가족 전부(동생), 예비신부 가족 전부(오빠)까지 모두하여 8명이서 같이 봤다. 필자와 짝궁은 상견례 전날까지 어색하면 어떻게 하지라는 고민을 엄청 많이 했는데 다행히 아버님들께서 술 한두.. 더보기
박살난 혼인율[결혼률]"나 결혼안해?못해?" 대한민국 미래는? 2탄 1탄에 이어 간다~~ 4. 진짜로 대한민국 결혼률이 박살난 이유는? 위에서 나열한 통계치를 떠나 진짜로 대한민국 결혼률이 박살난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실질적인 결혼률의 대폭락 이유를 아래와 같이 본다. 1) 시대적 흐름: 무한경쟁시대 - 80~90년대생들은 절대적 빈곤이 없는 세대이다(90%정도는?). 경제적 호황기를 살았던 부모세대 아래 성장하다보니, 무한경쟁시대로 바로 들어가버린 세대로 보인다. "열심히 해야만 한다. 공부만이 정답이다. 아파도 더 뛰어야 해" 부모세대가 시키는 것에 대한 이유가 도저히 납득이 안 되어도 어쩔 수 없었다. 본인들은 그 시대에 그렇게 해서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고, 자수성가했기 때문이다. 필자의 과거 회사 동료중 초등학생 외아들 1명이 여름방학 때 하루일과는 10시~2.. 더보기
박살난 혼인율[결혼률]"나 결혼안해?못해?" 대한민국 미래는? 1탄 필자는 결혼한지 1년이 채 안된 신혼부부로써 나이는 30대 후반이다. 30대 중후반에 지금의 반려자를 만나 연애하다가 만 1년이 조금 넘은 시기에 결혼식을 올렸다. "32~35세 정도에는 결혼하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그냥저냥 연애하면서 솔로로도 지내면서 살다가 30대 초중반부터 중반까지의 연애가 너무 어려웠었다. 솔직히 말해서..썸은 가능하나 연애 시작이 매우 어려 웠고, 더 솔직히 말하면 소개자체도 점점 어려워져 갔다. 30대 중후반이 되자 "내가 결혼을 할 수 있을까?", "결혼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인가", "나란 남자는...이미 결혼시장에서, 연애시장에서 상품성이 없어진 건가..."라는 자괴감까지 가게되었다. 그런데, 결혼전.후 주변을 둘러보니 남.여 솔로 천지이다. 그들에게 넌지시 연애,결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