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상식이슈

2023년 11월 파킹통장 금리 비교

반응형

OK저축은행 OK페이통장 공식 포스터(출처: OK저축은행)

2023년 11월 파킹통장 금리 비교

목    차

1. 파킹통장 개념

2. 2023년 11월 파킹통장 금리 비교

3. 파킹통장에 대한 필자 생각

 

 

[파킹통장 개념]

 파킹통장은 예적금통장의 한 종류로 언제나

입출금이 가능하지만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통장들을 통칭한다.

 기존에는 예금이나 적금, 단기적금 혹은 시중

은행의 금리보다는 조금 높은 이자를 주는

증권사의 CMA 통장이 인기를 끌고 있었다.

 

 혹시 생소하신 분들 위해 CMA통장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CMA통장: 증권사의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상품에

 고객의 자금을 유치하고 해당 자산운용사가

 위탁금을 투자하는 상품이다. 실적 배당형 상품인데,

 이는 또 세분화하여 구분된다. 흔히들 말하는

 파킹통장 금리 비교하는 CMA통장은

 '종합금융형CMA통장'으로서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는 통장이라서

 금리가 약간 높은 증권사 통장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나라는 수십년동안 대다수가 1금융권의 일반

입출금통장을 이용하고 있었는데, 1980~1990년대

경제호황기를 지나 2000년대 들어서 경제침체기가

오기시작했을 때부터 1금융권의 입출금통장

금리는 1%내외까지 곤두박질 치기 시작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그나마 이자다운 이자를 받기 위

해서는 목돈을 정기예금에 넣거나 월급여중 일정

금액을 적금에 넣는 방법밖에는 없었다.

 

 그러다가 2017년 카카오뱅크, 2021년 토스뱅크 등

각종 온라인은행들이 설립되고 새로운 국면을 맞이

하게된다. 온라인은행들은 기존 1금융, 2금융 은행

들이 가지고 있던 단점들을 상쇄하고, 파킹통장

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상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실질적으로는 기존은행들과 마찬가지인 입출금

통장인데, 시중은행들보다 1~2%이상 높은 금리를

지급한다는 사실이 일반 서민들에게 굉장한 마케팅

효과를 누렸다고 볼 수 있다.

 

 실질적으로 파킹통장에 대한 명확하게 명시화

하지는 않고 있고,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도 '파킹

통장은 단기간 자금을 굴릴 수 있고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파킹통장이란 '차를 주차하는것처럼

간단히 빼거나 주차한다'의 파킹한다의 개념을

가져와 손쉽게 입출금을 할 수 있는 통장이되,

일반통장 대비 금리가 조금 더 높은통장으로

생각하면 된다.

 

[ 2023년 11월 파킹통장 금리 비교]

 현재는 온라인은행 뿐만아니라 1금융권, 2금융권

은행들도 모두 파킹통장을 출시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초반과 달리 조건부 파킹통장으로 출시하고

있어 필자 주관 괜찮은 파킹통장만 소개하겠습니다.

 

 <2023년 11월 1일 기준 파킹통장별 현황>

2023년 11월 1~2일 기준 금리이며 항상 변동될 수 있으니 개설 전 공식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랍니다.

 

상기표는 2023년 11월 1일 기준이며 은행별로

상시적으로 금리가 변동될 수 있으니

개설 전 금리는 반드시 확인해주시기 바란다.

 

 <참고사항>

  1) OK페이통장 우대금리 조건

  :  OK페이통장을 4대페이(네이버∙카카오∙페이코∙

  토스페이) 결제 및 충전계좌로 등록 시, 등록

  익일부터 해제일까지 연 3%p 추가 적용

  *우대금리적용기간:별도안내시까지

  (우대금리적용시)

  50만원이하분 연 7.0%(세전)

  50만원초과분 연 3.5%(세전)

 

 2) 네이버페이 머니 하나통장 우대금리 조건

 :  2023.9.4 이후 네이버페이에 네이버페이머니

 하나 통장 서비스 연결 시에만 우대금리 제공

 매일의 최종 잔액 중 2백만원 이하 금액에 대해

 아래의 기간 동안 우대금리를 적용

 2023.09.04.이후 신규 계좌에 한해, 해지 후

 재가입시 우대금리 및 특별 이벤트 금리 미제공

 ①가입일로부터 1년 이내 : 연2.9%(세전)

 단, 2024.03.01 이내 가입한 경우 가입일로부터

 1년 이내 이벤트 특별금리 연1.0% 추가 제공

 ②가입 후 1년 초과 5년이내 : 연0.4%(세전)

 

 [파킹통장에 대한 필자 생각]

 여러분들도 알 것이다.
고물가, 저금리(요즘은 저금리라고 하기도
애매하긴 하지만 고금리는 아니므로 넘어가
주세요), 0원 챌린지 등 2030 층에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곡소리가 나고 있다.

4050 또한 마찬가지일 수는 있으나

그래도 건실한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이 아닌
청년들의 지갑은 항상 얇은 것 같다.
월세, 공과금, 통신비, 교통비, 식비 등의
고정비를 제외하면 최악의 경우 매월
본인에게 남은 돈은 100만원이 안될 때도
있는 것 같다. 미래를 위해 저축을 하던
투자를 하던 100만원이 안되는 본인들의
소중한 돈을 어떻게 해서라도 굴리고자
하는 분위기가 파킹통장 열풍을 일으킨게
아닐까 싶다.

 

 그래서 필자가 생각하기에 상기 통장별 금리를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 방법은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

이오니 참고만 하시기 바라며, 하고자하시면

다면 각 은행별 홈페이지에서 당일 날짜를

확인하신 후, 충분히 고민해보시고 통장을

개설하시길 바란다.

 

<전략1: 번거롭지만 파킹통장 금리 극대화>

 50만원까지 OK저축은행의 OK페이통장

 5천만원까지는 SBI저축은행 사이다

 5천 50만 외 금액은 케이뱅크 플러스박스에

 넣어두신다면 최대치로 금리를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전략2: 적당한 금리를 편하게 받기>

 케이뱅크 플러스박스에 전액 입금해두기

 혹은 5천만원까지는 SBI저축은행 사이다

 그 외 금액은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입금

 

상기 전략1,2는 상기의 모든 파킹통장의 안내정책

에 예금자보호 5천만원까지는 보호된다고 명시

되어있다. 다만, 저축은행과 시중1금융권의 재정

건정성이 다를 수 있기에 저축은행은 5천만원

까지만 하는것이 최악의 경우를 피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sc제일은행의 경우 2023년 11월 1~2일

기준 금액 제한없이 연 2.6%이지만 기존은

300만원까지만 적용되었던 금리라서 상시적

으로 언제든지 300만원까지만 연 2.6%로

변경될지 모른다. 이에 따라 차라리 케이뱅크에

넣어두는게 더 나을 것 같은 선택인 것 같다.

 

지금까지 2023년 11월 1일 기준 주요 파킹통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금리를 제외한 상기글은

필자의 주관이 많이 들어간 부분이라

통장 개설하시기 전 꼭 앱이나 홈페이지의

정책을 확인 후 개설하시기를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