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상식이슈

2024년 우리나라 예산 집행(안). 기획재정부 확정

반응형

2024년 대한민국 분야별 예산 배정(안)

 

최근 2024년 대한민국 예산집행(안)이 국회에서 의결되어 확정되었습니다. 매년 청년취업률, 빈곤예방, 출산율 대비 지원, 기업 지원정책 등 수천만원, 수억원, 수십억, 수백억원 등의 배정이 계획되어 총 수백조원의 어마어마한 돈이 집행됩니다.

 

저 또한 궁금해서 확인한 결과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2024년 대한민국 예산 현황(안) 지금 시작합니다.

 

[주요내용]

1. 2024년 총지출 규모는 2023년 대비 656.9조에서 656.6조원으로 0.3조원이 감소되었습니다.

2. 민생경제, 취약계층을 집중지원합니다.

3. 국민 안전을 강화에 집중지원합니다.

4. R&D, 새만금 보완 등 정책에 지원할 예정입니다.

 

◎ 민생경제와 취약계층 지원사업 증대

▸ 사회복지분야 지출을 총지출 증가율 2.8%의 3배 이상인 8.7%로 편성하여 2023년 대비 사회적 약자 지원을 대폭 강화하였습니다.

▸ 특히, 기초수급자를 위한 생계급여 지원액을 지난 5년간(2018~2022년) 총 인상액인 월 19만 6천원보다 더 큰 규모인 월 21만 3천원으로 인상하였습니다.

소상공인의 금리부담 완화를 위해 취약차주에 대한 대출이자 일부를 감면하고(2023년 대비 3천억원 증대), 영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전기요금 인상분의 일부를 한시 지원(2022년 대비 2520억원)합니다.

또한, 농어업인의 경영부담 경감을 위해 면세유 인상분(시설농가 및 어업인 6.8만명)과 농사용 전기료 인상분(양식어민 1.3만호) 일부를 한시지원(2023년도 대비 171억원)하고, 원자재 공급망 불안에 따라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무기질 비료 구입비용의 일부를 한시적으로 지원합니다.(2023년 대비 288억원 증대)

청년의 주거부담 경감을 위해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을 1년 추가 지원하기로 합니다.

  - 타 지역에서 일경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에게는 체류지원비를 신규로 지급한다고 합니다.(월 20만원을 3개월 동안 지급예정입니다)

신설한 대중교통비 환급지원 사업인 K-PASS를 조기 시행하고 환급요건도 완화하여 시행할 예정입니다.

  - 7월 시행예정에서 5월 시행으로 앞당길 계획입니다.

장애인 연금 부가급여를 1만원 인상하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출퇴근 비용 지원 한도도 월 5만원에서 7만원으로 인상하였습니다.

▸ 저소득 노인 대상 무릎 인공관절 수슬비 지원대상을 1천명으로 확대하고 기초.차상위.한부모 양육ㄱ가정에 대한 분유. 기저귀 지원단가도 월1만원 인상합니다.(분유는 월 8만원에서 9만원으로 증대, 기저귀는 월 10만원에서 11만원으로 증대할 예정입니다)

 

◎ 국민 안전 강화 지원

▸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주택융자 공급규모를 1800억원 확대하여 기존 정부안에 반영된 피해주택 매입지원과 함께 대부분의 피해자가 매입 또는 융자를 통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수도권 교통 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혼잡도가 높은 서울4,7,9호선과 김포 골드라인에 전동차를 추가로 편성하고 광역버스도 1일 91회 증차합니다.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철역 내 역주행 방지시설이 미설치된 에스컬레이터는 전량 개선합니다.

 

R&D, 새만금 보완 등 정책에 지원

R&D 분야는 고용불안 해소와 차세대. 원천기술 연구 지원, 최신.고성능 연구장비 지원 등 연구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보완합니다.

새만금 분야는 입주기업. 민자유치 지원을 위한 사업을 위주로 증액하였습니다.

 

◎ 기타내용

정부는 2024년 1월 1일부터 예산 집행에 착수하여 민생현장에서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사전절차를 준비할 계획입니다.

 

◎ 끝으로

이제 2023년이 1주일도 남지 않았네요. 다음주면 다사다난했었던 2023년이 저물고 새해가 밝아옵니다. 매번 뉴스를 시청할 때마다 사회의 아픔이 느껴지는 많은 이슈들을 보아오면서 새해에는 장애인, 노인가구, 저소득층 등 취약가구에 집중지원이 되어 좀 더 살기좋은 세상이 되기를 바랍니다. 하나 더 바라는게 있다면 제발 출산율 대책에 실질적인 제도 준비 좀 해주세요..정부 고위관계자님들아....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