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생각 해보셨나요. 우리나라에는 이민자가 얼만큼 많을까?. 최근 뉴스에서는 연일 외국인노동자의 증가수와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우리나라에는 이민자가 얼만큼 많을지 궁금해지지 않는가요? 그래서 오늘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년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결과]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지금 시작합니다.
◎ 외국인 체류 주요내용
▸ 외국인 상주인구는 143만명으로 2022년 대비 12만 9천 명(9.9%) 증가되었습니다.
▸ 고용률은 64.5%로 0.3% 하락하고, 취업자는 92만 3천명으로 8만명 증가되었습니다.
- 비전문취업(5.9만명), 전문인력(6천명), 유학생(5천명) 등에서 증가되었습니다.
- 실업률은 5.4%로 1.2% 상승하고, 실업자는 5만 2천명으로 1만 6천명이 증가되었습니다.
- 비경제활동인구는 45만 5천명으로 전년대비 3만 3천명으로 증가되었습니다.
▸ 귀하허가자의 상주인구는 5만 1천명으로 전년대비 1천명 감소되었습니다.
- 고용률은 67.4%로 2.1% 상승하고, 취업자는 3만 4천명으로 전년과 동일합니다.
그럼, 이제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할께요~
1. 외국인 상주인구
▸ 국적별 상주인구
- 베트남: 3.2만명, 중국 5천명이 2022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 체류자격별 상주인구
- 비전문취업 6만명, 유학생 2.5만명 등에서 2022년 대비 증가하고 방문취업은 1만명 감소, 결혼이민도 3천명이 감소하였습니다.
▸ 연령별 상주인구
- 15세~29세는 7만명, 30대는 3.3만명, 60세 이상은 1.8만명 등에서 전년대비 증가하고, 50대에서는 5천명이 감소하였습니다.
2. 외국인 고용률
▸ 외국인 고용률은 64.5%로 2022년 대비 0.3% 감소하였으나 취업자는 92만 3천명으로 8만명 증가하였습니다.
- 외국인은 광업 및 제조업에 4.1만명, 농림어업에서 1.5만명이 증가하였고 전기와 운수 금융업에서는 1천명이 감소하였습니다.
▸ 외국인 임금은 200~300만원이 44.2만명, 300만원 이상이 31.3명 정도라고 합니다.
▸ 외국인의 근로시간은 40~50시간이 52.2만명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50~60시간이 16.8만명으로 높았습니다.
- 평균 근로시간은 43.6시간으로 2022년과 동일합니다.
▸ 외국인 근무지역은 경기도 34.4만명, 서울특별시 14.5만명, 충청도가 12만명 순으로 높았습니다.
3. 외국인 체류실태
▸ 외국인 임금근로자가 이직 시 일자리 정보를 얻는 경로는 가족, 친구, 친인척 등의 소개가 46.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 외국인의 2023년간 월평균 소득은 200~300만원이 32.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한국 이외 국가에 거주하는 가족이나 친.인척에게 송금하는 외국인은 37.5%나 됩니다.
▸ 이민자의 부문별 한국어 실력은 '매우 잘함'의 비중이 가장 크고,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순으로 '매우 잘함'의 비중이 크다고 합니다.
▸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의 89.6%가 계속 한국 체류를 희망하며, 체류 연장 방법은 체류 기간 연장 52.8%가 가장 크다고 합니다.
4. 외국인 가구 특성
▸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은 58.1%, 귀화허가자는 82.7%입니다.
-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과 귀화허가자 중 배우자가 같이 국내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은 65.3%, 귀화허가자는 97.9%입니다.
- 자녀가 있는 외국인은 56.0%, 귀화허가자 83.9%입니다.
▸ 외국인의 거처종류는 일반주택이 58.3%로 가장 많고, 점유형태는 전세 혹은 월세가 59.2%로 가장 높았습니다.
◎ 끝으로
우리는 다문화가정을 주변에서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 제 주변에도 외국인분과 결혼하신 분이 벌써 수명을 넘어가고 있으며 지역 도서관에 가더라도 외국인으로 보이는 학부모나 학생들이 종종 보이긴 합니다.
또한 최근 정부 정책들을 고려해면 지속적으로 외국인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는 이제 수많은 인종들과 타국민들과 함께 살아야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로인한 수많은 합리적이고 공정한 제도와 도덕/윤리가 잘 정착되길 바랍니다.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사상식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금 추천(2023년 12월 말 기준 정기적금) (2) | 2023.12.28 |
---|---|
2024년 우리나라 예산 집행(안). 기획재정부 확정 (2) | 2023.12.27 |
부산 남구 지역 도서관 소개드립니다. (1) | 2023.12.21 |
겨울 산천어축제 소개드립니다. (0) | 2023.12.20 |
부산 남구도서관 이용 안내 (1) | 2023.12.19 |